보유기술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image15.png image16.png

· 기술설명

• 지하복합플랜트는 다양한 폐기물을 지하공간에서 복합(통합)처리하여 2차 부산물을 자원화하고, 에너지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저탄소 도시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수행
• 하수슬러지는 저악취 및 저소비에너지형 수열탄화 공정을 통해 70% 이상 감량화할 뿐만 아니라 고품질 바이오연료로 생산
• 음식물폐수 및 공정 내 폐수는 미생물 센서 제어형 혐기성 소화 공정을 통해 바이오가스로 전환되며, 가연성폐기물은 저공기비 소각공정을 통해 스팀으로 생산되며 배가스는 배출허용기준 70% 이하 조건으로 제어
• 바이오가스와 스팀은 발전 시스템을 통해 전력과 열에너지로 생산되어 도심 내 지역주민에게 환원
• 폐기물 195톤/일 (하수슬러지 100톤/일, 가연성 폐기물 90톤/일, 음식물폐수 5톤/일) 처리 플랜트 설계 중에 있으며 ‘24년 착공 예정, 본 플랜트 운영 시 연간 온실가스 58,039 tCO2eq/년 감축 가능

· 관련정보

• 차세대 미래 플랜트 기술 국제 컨퍼런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홍보 (2020.12)
• 폐자원에너지 정책 기술 포럼 초청 발표 (2021.05)
• 대한설비공학회 학술강연회 초청 발표 (2023.04)

· 추가정보


· 관련보유특허

수열탄화공정의 직/간접 이중열교환 에너지 회수시스템 10-2422280
리그노셀룰로오스 바이오매스의 자원순환을 위한 수열탄화 기반 통합 플랜트 10-2023-0024660
수열탄화공정에서 유기성폐기물의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10-2023-0061500

· 관련보유논문

Influence of Ammonia Stripping Parameters on the Efficiency and Mass Transfer Rate of Ammonia Removal Applied Science
Determin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Higher Heating Value and Atomic Ratio of Hydrogen to Carbon in Spent Coffee Grounds by Hydrothermal Carbonization Energies
지하공간 활용 도시 발생 폐기물 처리를 위한 복합플랜트 실증연구 유기성자원학회지

· 연락처

성명 : 김호
연락처 : 031-330-7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