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작성자 : 고등기술연구원 조회수 : 2,875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사업 “200kW 이하 풍력발전시스템 성능시험 및 성능최적화 기술개발”연구과제 참여기업 모집 공고 |
“200kW이하 풍력발전시스템 성능시험 및 성능최적화 기술개발” 과제에 참여할 국내 중·소형 풍력발전기 제작사를 아래와 같이 공모합니다. 2022. 4. 25(월)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이사장 |
□ 공모명 : “200kW 이하 풍력발전시스템 성능시험 및 성능최적화
기술개발”참여기업 모집
□ 공모 내용 요약
구 분 | 세부 내용 | |||||||||||||||
과제명 | ○ 200kW 이하 풍력발전시스템 성능시험 및 성능최적화 기술개발 | |||||||||||||||
과제 개요 | ○ 참여기관 : 고등기술연구원(주관), 광운대학교, 강원대학교, 충남대학교, 한국선급 ○ 과제기간 : 50개월 (2021. 11. 01 – 2025. 12. 31) ※참여기업의 협약기간은 최대 42개월(`22.07.01. ~ `25.12.31.)임
○ 과제목표 : 중·소형 풍력터빈 실증을 위한 전용 테스트베드 구축 및 국내 우수 중·소형 풍력터빈 제작사를 대상으로 한 기술 지원 | |||||||||||||||
지원내용 | ○ 중·소형 풍력발전시스템 핵심 요소부품 국산화 및 표준화 지원 ○ 중·소형 풍력발전기(또는 핵심 요소부품) 수치해석 지원 ○ 풍력발전시스템 출력성능 실증지원 ☞ 실증부지, 바람자원계측, 출력계측 등 지원 | |||||||||||||||
제출서류 | ○ 사업계획서 1부 ○ 과제 참여자의 개인정보·과세정보 이용·제공 동의 및 청렴 서약서 1부 ○ 수행기관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서 1부 ○ 재무제표 1부 (최근 3년) 사업계획서_사업신청용_IAE.hwp 참조 | |||||||||||||||
사업비 지원규모 (정부출연금 기준) | ○ 1억 원/년 내외 ※기업이 신청한 사업비는 운영위원회의 평가내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본 연구과제는 혁신제품형(실증형)으로 분류되는 바, 정부출연금의 지원 비율과 민간 부담금 중 현금 부담비율은 아래 표와 같음.
1) “연구개발기관”이란 연구개발과제수행을 위하여 선정된 주관연구개발기관 및 공동연구개발기관임 2) “대기업”이란「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및「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중견기업이 아닌 기업임 3) “공기업”이란「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5조제4항제1호에 따른 기업임 4) “중견기업”이란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제2조 1호의 기업임 5) “중소기업”이란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제1항 및 제3항과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중소기업 범위)에 따른 기업임 6) “수요기업”이란 개발제품 및 기술에 대한 구매 또는 실시를 희망하여 개발과정에서 성능 평가 및 검증 역할을 하는 주관연구개발기관이 아닌 공동연구개발기관임 7) “실증형연구개발과제”는 “4-1. 지원분야”의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목록”[붙임 2]의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목록”에서 “실증형연구개발과제”로 지정한 연구개발과제를 말함
| |||||||||||||||
평가방법 | ○ 참여 제안서를 기반으로 운영위원회의 평가 실시(서면, 발표) ○ 평가기준 : 평가항목 기준표 참고 |
1) [첨부 1] 참여기업 선정 평가표 참조
□ 유의사항
○ 본 연구과제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은 과제기간 내 KS인증 시험을 반드시 추진해야 함
○ 실증연구단지는 2023년 9월에 조성 완료(예정)되므로 실증계획 수립 시 이를 반영해야 함
□ 접수방법
○ 참여 제안서를 e-mail로 제출
○ 접수처: sonjh87@iae.re.kr">sonjh87@iae.re.kr (☏ 031-330-7844)
(담당자: 그린에너지 인텔리전스센터 손재훈 선임 연구원)
□ 추진일정
○ 내·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의 평가를 통해 선정
참여기업 모집공고 (기간: ‘22.04.25~05.08) |
| 서면평가 및 결과 통보 (운영위원회) |
| 발표평가 및 결과 통보 (운영위원회) |
| 사업계획서 수정 보완 및 협약 추진 |
|
‘22.04.25 | ‘22.05.11 | ‘22.05.12 | ‘22.07.01 |
첨부 1 |
| 참여기업 선정 평가표 |
평가항목 | 세부 항목 | 평가 지표 | 배점 | 평가 점수 |
기술성 및 개발능력 (80) | 사전 준비성 (30) | 인증 대상 제품의 TRL수준(인증시험 readiness)은 충분한가? | 15 |
|
인증 대상 제품의 트랙 레코드를 보유하고 있는가? | 10 |
| ||
사업을 위한 사전조사(시장, 특허 등)가 충분히 이루어졌는가? | 5 |
| ||
제안목표의 적정성과 명확성 (35) | 동 사업의 목적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가? | 5 |
| |
제품의 기술 자료(도면 등)를 보유하고 있는가? | 10 |
| ||
기술지원을 받고자 하는 범위와 목표가 명확한가? | 5 |
| ||
KS 인증 제품 혹은 유사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가? | 10 |
| ||
KS 인증 추진계획은 타당한가? | 5 |
| ||
연구비의 적정성 (15) | 사업비 규모 및 계상내용이 적정한가? | 5 |
| |
연구 전담인력의 규모와 수준이 적절한가? | 10 |
| ||
시장성 및 사업화 가능성 (20) | 비즈니스 모델의 적정성 (10) | 풍력발전기 관련 국내·외 매출 실적이 있는가? | 5 |
|
사업화 추진 전략이 타당한가? | 5 |
| ||
기대효과 (10) | 수입대체, 고용창출, 시장확대 등 풍력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충분되는가? | 10 |
| |
합 계 | 1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