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1415157220 / 리빙케어소재기술(주) / 주관과제 / 총 연구비 2,288,260,000원
과학기술표준 분류 : 재료 / 세라믹재료 / 고강도/열 기능재료 / 100%
과제고유번호 | 141515722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18-01-01 ~ 2018-12-31 |
---|---|---|---|
(기관)세부과제번호 | 10063286 | 총 연구기간 | 2016-03-01 ~ 2020-12-31 |
내역사업명 | 소재부품패키지형 | ||
과제명(국문) | 1.0㎏/batch 규모급 평균 열전성능지수(ZT) 1.4 이상의 다결정 열전소재 및 이를 이용한 열전성능(Z) 3.4의 고효율 열전모듈 개발 | ||
과제수행기관 | 리빙케어소재기술(주) |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과제관리(전문)기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사업명 | 소재부품기술개발(R&D) | 사업 부처명 | 산업통상자원부 |
---|---|---|---|
계속과제여부 | 계속 | 연구수행주체 | 중소기업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과학기술표준분류(신) 12년도 개편 |
재료 / 세라믹재료 / 고강도/열 기능재료 (100%) |
---|---|
적용분야 | 제조업(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100%) |
6T 관련기술 | NT(나노기술) 나노소재 |
NTRM (국가전략기술코드) |
|
공동연구여부 | 기업 대학 국공립(연), 출연(연) 외국연구기관 기타 |
총연구비 | 세부내역 | |||||||||
---|---|---|---|---|---|---|---|---|---|---|
년도 | 정부 연구비 |
인건비 | 직접비 | 간접비 | 위탁연구비 | 물건비 | 소계 | |||
현금 | 현물 | |||||||||
2018 | 1,500,000,000 | 0 | 1,664,520,000 | 141,480,000 | 0 | 0 | 2,288,260,000 | 482,260,000 | 1,806,000,000 |
연구목표 | |
---|---|
1) 주관기관 : 리빙케어소재기술 - 열전분말 제조 및 성형을 위한 소결체 제조 기술 - 열전웨이퍼 직접 제조를 위한 열전분말의 소재화 가공 기술 2) 참여기관 1 : 경희대학교 - 열전소재 평균 ZT≥1.30인 열전소재 개발 - 열전신물질 탐색 및 합성 ZT≥0.8 3) 참여기관 2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Bi-Te-Se계 metal-interface composite 구조 제조 기술 개발 4) 참여기관 3 : 공주대학교 | |
연구내용 | |
1) 주관기관 : 리빙케어소재기술 - 용량/batch에 따른 소재 특성 평가 및 조건 확립 - 분말 제조공정 최적화를 통한 소재 특성 안정적 재현성 확보 - 열전모듈 및 시스템의 제품화 단위 특성 평가 - 분말 소결공정 설계 및 시험 제조라인 구축 - 열전웨이퍼 설계 및 소자화 가공라인 구축 - 압연공정에 의한 열전웨이퍼 시험 제조라인 설계 - 확산방지층 및 전극 일체형 열전웨이퍼의 모듈 제조 및 특성 평가 2) 참여기관 1 | |
기대효과 | |
1) 열전소재 및 모듈의 고성능화 및 생산규모 Scale-up 기초 기술 확보 - 신조성 열전분말 제조 및 전극일체형 열전웨이퍼의 직접 제조에 의한 열전소재 모듈화 공정시스템 확립 - Conformal coating 기술을 통한 조성 최적화 및 삼상계 Fermi-level을 연구를 통한 물성 증대 - Metal-interface composite 기반의 소결 기술과 phonon 산란 및 전기전도 메커니즘 규명을 통한 물성 향상 조건 - 고 | |
한글 키워드 | 성능지수,다결정,열전소재,나노복합,열전모듈 |
영문 키워드 | figure of merit,polycrystal,thermoelectric material,nanocomposite,thermoelectric modu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