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기술연구원

보유기술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보유기술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기계융합시스템센터 소음/진동 시험 평가 및 분석 기술

· 기술설명

◦모빌리티모듈 및 부품진동/소음 규격 및 규제 기반 평가 기술 ◦자동차 인테리어 및 아웃테리어부품 감성품질 평가 기술 ◦소음/진동 특성 분석을 위한 데이터 파싱 및 기반 알고리즘 개발 기술


신소재공정센터 사용 후 배터리 유가금속 재활용 기술

· 기술설명

● 사용 후 배터리 전처리 공정부산물 내 유가금속(Cu, Al 등)을 선택적으로 박리, 선별 공정 및 고순도화를 통해 회수하는 기술임 ● 폐리튬이자전지 침출액으로부터 함유되어 있는 유가금속(Li, Co, Ni 등)을 선택적으로 회수 및 소재화 하는 기술임 ● 폐리튬이차전지로부터 회수된 전구체로부터 Double replacement reaction (DRR) 기반 수산화리튬 분말과 같은 화합물 소재 분말 제조 및 고순도화 기술


신소재공정센터 고성능 이차전지 양극재 제조 기술

· 기술설명

● 본 기술은 고에너지 밀도와 장수명을 갖는 이차전지용 양극재를 구현하기 위한 다입경 전구체 설계, 물성 제어 기반 도핑 및 코팅 공정, 전기화학적 안정성 확보 기술로 구성임 ● 대입경 및 소입경 전구체를 바이모달로 조합하여 전극 탭밀도와 충전 용량을 극대화한 NCM 양극재 제조 기술 ● 전구체 미세입자화 기술 및 탄소 코팅 기반의 밀도 향상 기술을 이용한 고용량 LFP 양극재 제조 기술


신소재공정센터 고성능 리튬-공기 전지용 나노복합 전기촉매

· 기술설명

● 고성능 리튬-공기 전지용 나노복합 전기촉매 기술은 다양한 전이금속 기반 나노구조체(Pt-WSe₂, Li-MoO3, Co2GeO4, TiO2 등)를 합성하여 ORR/OER 반응 활성을 향상시키고 전극 내구성과 전기전도성을 개선하는 기술임. ● 각 촉매는 도핑, 양이온 삽입, 이종접합, 구조 제어 등의 전략을 통해 산소 친화력, 결함 제어 능력, 촉매 반응 면적 등을 극대화함으로써 고출력 및 장수명 리튬-공기 전지를 실현 가능하게 함.


바이오자원순환센터 국내 방치패각 자원화 공정기술 및 제품화 기술

· 기술설명

• 본 기술은 유·무기 불순물을 포함하는 방치패각의 고품위 소재화 위해 소성온도를 달리하는 다단소성을 통해 광물상을 달리하는 다양한 칼슘소재 제조 • 소성과정의 탈탄산화반응에 의해 배출되는 다량의 CO2는 포집·회수하여 재자원화 • 본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칼슘자원은 기존 석회석 대체소재로서 발전소 탈황소재로 활용


바이오자원순환센터 비표면적 2,500m2/g급 탄소계 흡착소재 개발 및 이를 활용 에너지화 공정기술

· 기술설명

• 저가/저품질 탄소계 흡착소재(1,500m2/g이하)의 업그레이딩과 미래순환자원인 유기성폐자원과 폐플라스틱의 업사이클링 기술 • 최적화된 활성화방법은 2,500m2/g 이상의 고비표면적 탄소계 흡착소재 개발 및 선택적 기공제어 가능 • 활성화공정 자원&폐수&에너지의 순환체계를 구축하여 Waste Zero화 • 대상물질별 고효율/저차압 흡/탈착시스템을 개발하고, 회수물질 자원화로 에너지화공정 적용


바이오자원순환센터 폐수의 재이용 및 유용자원 회수

· 기술설명

• 폐수 내 존재하는 고농도 유기물과 질소 화합물을 물리적, 전기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으로 처리하여 재이용하는 기술임. • 전기화학적 처리기술로 고효율/장수명의 불용성 촉매전극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개발 전극 적용을 통해 전기화학시스템의 운영비 절감이 가능함. • 예로 김치제조공장에 전기화학적 살균시스템을 적용하여 염수 내 유기산 농도 변화에 따라 전류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3톤/시간 처리 실증 현장 검증을 수행하였음. • 전기화학적 처리기술은 살균 외에도 난분해성 유기물의 제거, 식품염수의 재이용, 도금공정 금속 회수 등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함. • 고농도 질소 함유 폐수는 생물학적 방법만으로 오염원을 처리수질 기준까지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공정의 건설비 및 운영비가 높음. • 저비용으로 고농도 질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결합하였음. • 공정 내 폐열을 활용하여 저비용 암모니아 회수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폐수처리 운영비 절감 및 효율 증대가 가능함.


바이오자원순환센터 저탄소 도시의 핵심인프라 ‘지하복합플랜트’

· 기술설명

• 지하복합플랜트는 다양한 폐기물을 지하공간에서 복합(통합)처리하여 2차 부산물을 자원화하고, 에너지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저탄소 도시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수행 • 하수슬러지는 저악취 및 저소비에너지형 수열탄화 공정을 통해 70% 이상 감량화할 뿐만 아니라 고품질 바이오연료로 생산 • 음식물폐수 및 공정 내 폐수는 미생물 센서 제어형 혐기성 소화 공정을 통해 바이오가스로 전환되며, 가연성폐기물은 저공기비 소각공정을 통해 스팀으로 생산되며 배가스는 배출허용기준 70% 이하 조건으로 제어 • 바이오가스와 스팀은 발전 시스템을 통해 전력과 열에너지로 생산되어 도심 내 지역주민에게 환원 • 폐기물 195톤/일 (하수슬러지 100톤/일, 가연성 폐기물 90톤/일, 음식물폐수 5톤/일) 처리 플랜트 설계 중에 있으며 ‘24년 착공 예정, 본 플랜트 운영 시 연간 온실가스 58,039 tCO2eq/년 감축 가능


에너지·환경연구센터 공전해 시스템 기반의 CO2 직접 활용 기술

· 기술설명

◦CO2 포집 기술을 적용하여 포집된 CO2를 직접 이용하는 기술로서, 발전소, 제철(철강)소 및 시멘트사 등의 폐열, 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력이나 발전소 주파수 조정 등에서 생산되는 잉여 전력 등을 활용하여, H2O와 함께 공전해 (Co-electrolysis)시켜 CO, H2 기반의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기술 ◦수소시대를 위한 Bridging기술로 CO2를 고부가가치 탄화수소연료(Green Fuel)로 전환하여 활용하는 탈탄소화 기술 ◦P-to-G 기술로 ESS시스템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기술 ․합성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경우 에너지밀도 30~40 MJ/L로 저장 가능(고압수소~4.5 MJ/L, 액체수소~8.5 MJ/L) ․액상 연료는 에너지충전율이~700MJ/min정도로 높으므로 빠른 이송 및 활용 가능(수소~100 MJ/min, 리튬계 이차전지~150 MJ/8hrs)


에너지·환경연구센터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및 지능형 모니터링 기술

· 기술설명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및 에너지화 기술은 석유정제공정, 화학공정, 도장공정, 필름제조 및 인쇄공정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 산화, 응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효율로 처리하고 산화과정에서 생성된 폐열은 상변환물질을 이용하여 회수/저장하는 기술과 흡착필터가 적용된 농축 및 응축 시스템을 이용한 고효율 액상 회수 기술 등을 융합시킴으로써 고효율 에너지화가 가능함. ◦본 그룹에서는 2008년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기술개발 연구를 시작하였고, 2010년도에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축 및 응축을 통한 재활용 시스템 개발연구를 통해 액상 회수 시스템 기술을 확보하였음. ◦또한 중소벤처기업부의 지원을 받아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수입용 필터 부품 국산화 및 재생 장비 개발 연구를 완료하였고, 2024년부터는 Edge-IoT 기술 적용 고효율 하이브리드 산화장치 개발 및 센서 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탄소배출 관리 예측 제어 플랫폼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에너지·환경연구센터 수소 위험성평가 및 안전관리 기술

· 기술설명

◦수소 위험성평가 및 안전관리 기술은 수소 인프라의 설계·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 가능성과 잠재적 피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안전관리 방안을 수립하는 기술임. ◦본 기술은 정량적 위험성 평가(QRA)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 시나리오의 발생 확률과 영향을 분석하고, Bow-Tie 기법 등과 연계하여 예방 및 대응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를 구현하는 것이 목적이며, 특히 수소의 물리적 특성과 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한 통합적 안전 관리 체계를 연구함으로써, 미래 수소사회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목표임.


에너지·환경연구센터 복합 열캐리어 연소기 기술

· 기술설명

◦복합 열캐리어 연소기 기술은 고온의 연소 환경에 직접 물 분사를 통해 생성되는 스팀과 연소가스를 함께 오일샌드가 묻혀있는 지하 저류층에 공급하는 방식의 비전통오일 생산용 연소기 관련 기술임. ◦본 기술의 특징은 연소기에서 생성되는 스팀과 연소기스 혼합물(열캐리어) 함께 저류층에 주입하기 때문에, 기존 기술에 비해 물 사용량 절감과 더불어 유동성 증대를 통한 비투멘 회수율 증진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품질의 물 사용이 가능하여 수처리 시스템이 간단하기 때문에 구축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점임. ◦국토부의 지원으로 현재 Pilot급 복합 열캐리어 연소기 최적화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향후 scale-up을 통한 중규모 연소기 개발을 추진 예정임.


에너지·환경연구센터 수소 초전환 연소 기술

· 기술설명

기존 메탄 기반 연료에서 100% 수소 연료로의 전환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차세대 연소 기술. 수소 혼소율을 20%부터 100%까지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부하에 맞는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며, 기존 인프라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이고 효율적인 수소 경제로의 이행을 실현.


에너지·환경연구센터 디지털 트윈

· 기술설명

설비의 가상 구축과 가상 구축된 설비를 통해서 실제설비의 성능을 점검 및 차후 설비 운영 최적화 기술


에너지·환경연구센터 바이오매스 반탄화/바이오차 기술

· 기술설명

200℃~300℃에서 반탄화를 통한 바이오매스 연료화 기술 350℃ 이상에서 바이오매스를 토질개량제 및 탄소고정용 차를 제조하는 바이오차 기술


융합소재연구센터 플라스틱 산업 발전 지원

· 기술설명

- 플라스틱 산업 현황 조사 - 플라스틱 산업의 글로벌 동향 조사 - 플라스틱 산업의 발전 전략 연구· 초기시장 창출 연구· 고부가 기술개발 연구· 지속가능 생태계 구축 연구


융합소재연구센터 정밀화학 산업 발전 지원 (수정 가능)

· 기술설명

- 정밀화학 산업 현황 및 위상 조사 - 고기능 정밀화학 기반 전방산업 도출 - 5대 핵심 전방산업의 정밀화학소재 조사 - 정밀화학 산업의 발전 방안 연구· 5대 전방산업 R&D 연구· 지속가능 생태계 구축 연구· 화학물질 규제 대응 연구


융합소재연구센터 소부장 기업 신뢰성 및 현장 애로기술 지원

· 기술설명

● 국내 소부장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중소·중견 기업을 대상으로 고등기술연구원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신뢰성 향상 및 소재·부품·장비 개발을 지원 ● (신뢰성기반활용지원사업) 금속 소재·부품 관련 신뢰성 및 성능향상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 바우처를 지급하고 고등기술연구원에서 현금처럼 사용하여 수요자 중심의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 ● (융합혁신지원지원단)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현장 애로기술 지원 및 기술력 향상을 위해 고등기술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인프라·인력을 활용 융복합 기술혁신 서비스를 제공


융합소재연구센터 디지털 융합 기술 활용 미래차 소재/부품 기술 지원

· 기술설명

● 본 사업은 자동차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래자동차 부품 기업의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디지털 융합 활용 소재‧부품 설계 및 개발, 시제품 제작, 시험평가 및 인증지원이 가능한 전주기 기술지원 기반구축 사업 ● 자동차 부품 관련 중소/중견 기업에 대한 기술 컨설팅 및 사업화 지원 ● 디지털 융합기반 미래자동차 소재부품 개발 및 애로기술 해결지원 ● 제품의 품질 신뢰성 확보를 위한 시제품 제작, 특성평가 등 실증 지원


융합소재연구센터 금속 합금 분말 제조/소결/소성 기술

· 기술설명

● 본 연구센터에서는 고진공 가스분사(아토마이저)법을 이용한 금속 분말 제조 기술, MPC(Magnetic Pulsed Compaction)법을 이용한 금속 분말의 소결/소성 등 기술을 보유 중. ● 고진공 가스 분사식 금속 합금 분말 제조 공정은 다양한 금속에 대한 미세 분말 제조 공정 중 하나로 용융된 금속을 고압의 공기 또는 액체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분말로 제조하는 방법이며, 균일한 미세 입자 형성이 가능하고 높은 구형화도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음. ● MPC공정은 전도성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금속 분말 성형법으로, 짧은 시간에 정밀 성형이 가능하고 1회의 성형만으로 고밀도의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저비용 고효율 금속 소결/소성 공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