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기술연구원

보유기술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보유기술

INSTITUTE FOR ADVANCED ENGINEERING

청정에너지전환센터 환경오염물질 저감기술

· 기술설명

공정 배출 대기오염 화합물에 대하여 선택적 환원 반응(SCR)을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 및 촉매연소기술을 활용한 VOC 화학적 전환 배출 기술임


청정에너지전환센터 동식물성 유지 기반 바이오연료 제조 및 품질 최적화 기술

· 기술설명

석유계 또는 바이오기반 원료 전환에 의한 고부가 항공유 제조용 통합공정 상 필요한 요소기술로는 원료수급, 물성/공급조건 확보, 크래킹/이성질화를 위한 다단 촉매수소화공정, 제조된 항공연료에 대한 물성 및 수율 극대화를 위한 후처리 기술, 상기 단위공정의 연계 통합을 위한 엔지니어링 기술, 공정최적화에 의한 스케일-업 기술, 항공유 품질최적화 등이 요구되며, 이들 요소기술들이 연계될 수 있는 통합형 연계공정의 구현이 필요함.


기계융합시스템센터 Advanced Friction Welding 기술

· 기술설명

◦ 철강 및 비철금속재료의 마찰교반용접 공정 개발 기술 ◦ 마찰교반용접용 툴 설계 및 개발 기술 ◦ 초고속 저입열 마찰교반용접 공정 개발 기술 ◦ 미래 기술 수요 다종소재 접합 기술


기계융합시스템센터 뿌리 산업(소성가공, 접합, 금형 등)의 첨단 생산 공정 기술

· 기술설명

◦다기능성(전기적 물성, 기계적 물성, 방열 특성 등) 금속기반 복합소재 제조 공정 기술 ◦분말 기반 복합재 성형 기술 (분말 압출, 분말 압연, Hot Press 등) ◦생산기반 이종 금속 클래딩재 제조 기술 (클래딩 압출, 3D 프린팅, 원심주조 성형 등) ◦다 기능성 부여를 위한 표면처리 및 이종 소재 접합 기술 (소결접합, 확산접합 등)


기계융합시스템센터 다양한 공정과 부품의 건전성 확보 위한 SHM 및 비파괴검사 기술

· 기술설명

◦차량, 산업전기 분야 부품 건전성 확보를 위한 비파괴 검사 및 평가 기술 ◦복합용기 제조 및 사용 시 발생 결함 검출을 위한 비파괴 검사 기술(UT, IRT, AET 등) ◦원전 및 발전플랜트 등의 용접구조물 안전성 확보 위한 비파괴 검사 표준물질 개발 ◦AI 알고리즘을 통한 비파괴 검사(UT, AET 등) 현장 적용 플랫폼 개발


기계융합시스템센터 IT 융합 지능화 용접·접합 공정 기술

· 기술설명

◦ 미래형 자동차 대응 이종소재 용접 접합 및 체결 기술 ◦ 에너지 소재 대응 초정밀 레이저 용접기술 (배터리, 수소연료전지 등) ◦ 원자력, 플랜트, 조선해양 분야 중대형 구조물 용접 자동화 기술 ◦ 디지털 융합 용접 데이터 수집, 품질 판단 및 피드백 제어기술


기계융합시스템센터 에너지/환경분야 제품화 및 시스템 기술

· 기술설명

◦EPP 소재기반 부유 구조물 설계/해석 및 해상환경적용 부유체제품화 기술 ◦선박 평형수수처리 시스템 내 디스크 필터 설계 및 제작기술 ◦냉매배관 세정기시스템 설계/제작 기술 ◦에너지 절감형 압착 전해 탈수 시스템 최적화 설계기술


기계융합시스템센터 플랜트/안전분야 시스템 기술

· 기술설명

◦모바일 기반 고전압 산업용 X-ray 검사 시스템 설계 및 제품화 기술 ◦Ca 함유 고형경질 퇴적물 제거 파쇄비트 설계기술 및 퇴적물 제거/회수 시스템 기술 ◦완전기밀유지 스마트 복합 볼밸브 시스템 제품화 기술 ◦서치라이트 및 영상카메라 선회/틸팅 메커니즘 설계 및 긴급구난지원 차량 제품화 기술


기계융합시스템센터 전기,전자/의료기기분야 제품화 기술

· 기술설명

◦BA, 햅틱, 골전도기반 스피커 진동자최적화 기술 및 음질/음향성능 향상 기술 ◦세탁기 동특성과 구조안정성 향상 및 진동/소음 저감 설계 기술 ◦위성안테나 메커니즘 설계 및 육상/해상조건 구조 설계 기술 ◦Piezo electric기반 해석/설계 기술 및 초음파 복강경 수술기진동전달 및 변위 증폭특성 향상 설계 기술


기계융합시스템센터 미세먼지 제거 및 공기청정 시스템 기술

· 기술설명

◦수리온헬기 모래먼지제거설계기술 및 풍동실험장치기반 필터 성능 평가기술 ◦병실 내 병원균 농도 및 경로 예측기술 솔루션 및 병원균 제거효과 설계기술 ◦석탄 입자 거동 및 환기 효율 개선 설계기술 ◦미세입자 측정 장치기반 미세먼지 제어 및 포집기술


기계융합시스템센터 전기 및 수소기반 미래형 자동차 솔루션 기술

· 기술설명

◦전기 파워트레인 설계/제작 및 차체 경량화 기술 ◦지능형 로상용차레이션 시트 진동저감 기술 및 시트 모듈 제품화 기술 ◦10Kw급 통합 충전시스템 설계/제작 및 차세대 전력반도체기반 충전시스템 제품화 기술 ◦탑승자 데이터기반 고급화시트 시스템 및 모바일 앱기반 제어 및 음성 인식기술


청정에너지전환센터 탄소중립 대응 온실가스 포집/전환기술

· 기술설명

대표적 온실가스인 CO2에 대하여 포집 및 배출되는 CO2를 다양한 개질반응(ATR, CDR…etc)을 활용한 화학적 전환을 통해 합성가스(H2, CO)를 생산함으로써 CO2를 저감과 동시에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임


에너지·환경연구센터 수소설비 위험성 평가 기술

· 기술설명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소 생산 및 충전 시설에 대한 안전성 확보 기술로 대표적인 수소 생산 시설인 수전해 설비 및 개질기와 모빌리티 충전을 위한 수소 충전소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 기술임. 정량적 위험성 평가는 HAZOP, HAZID 등을 수행하여 위험요소를 식별하는 과정임, 위험요소를 기반으로 사고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과정, 시나리오별 사고 위험 빈도를 도출하는 과정과 사고 영향을 평가하는 과정으로 수행하며 이를 HyRAM, Safeti 등과 같은 전문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평가 결과를 도출함. 상기 과정으로 도출된 위험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대상 수소설비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안전을 위한 개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최종적으로 수소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함.


에너지·환경연구센터 저비용/고효율/고순도 황화수소(H2S) 정제 기술

· 기술설명

◦H2S 정제기술은 가스상에 함유된 H2S를 제거하는 기술로,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기술의 경우 산화반응에 의해 H2S를 황 원소로 직접 분해하여 제거하는 기술로, Claus(황 회수)나 황산 제조 공정과 같은 별도의 후처리 설비가 필요 없어 건설비를 크게 낮출 수 있음. ◦또한 용매 재생에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 없고, H2S 제거 효율은 99.9% 이상인 기술로 초청정 저비용·저에너지소비·고효율로 H2S를 제거할 수 있음. Pilot급(250 Nm3/hr) 및 demo급(2,000 Nm3/hr) H2S 제거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에너지·환경연구센터 저탄소 연료전환 연소 기술

· 기술설명

본 센터에서는 일반적인 가스연료인 메탄에 비해 7배 빠른 연소속도를 가진 청정 수소를 보일러 등에서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소의 연료전환 연소속도를 제어하는 기술 개발을 수행 중이며, 다음과 같은 요소기술들을 확보하고 있음. - 연소속도 제어를 위한 다단식 부분예혼합 기술. - 화염분산을 위한 Slit flame 화염형상 제어기술. - GHG(NOx, CO2) 저감을 위한 완전예혼합 표면연소기술. - 공기비례제어식(PGARC) venturi mixer 설계기술 - 연소중간생성물(OH-)을 활용한 비색성 화염가시화 기술.


에너지·환경연구센터 CO2 공전해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 및 활용 기술

· 기술설명

◦ 본 기술은 CO2 포집 기술을 적용하여 포집된 CO2를 직접 이용하는 기술로서, 발전소, 제철(철강)소 및 시멘트사 등의 폐열, 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력이나 발전소 주파수 조정 등에서 생산되는 잉여 전력 등을 활용하여, H2O와 함께 공전해 (Co-electrolysis)시켜 CO, H2 기반의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임. ◦ 수소시대를 위한 Bridging기술로 CO2를 고부가가치 탄화수소연료(Green Fuel)로 전환하여 활용하는 탈탄소화 기술이라 할 수 있음. ◦ P-to-G 기술로 ESS시스템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기술임. -합성가스를 액상 연료로 전환하는 경우 에너지밀도 30~40 MJ/L로 저장 가능(고압수소 ~4.5 MJ/L, 액체수소 ~8.5 MJ/L) -액상 연료는 에너지충전율이 ~700MJ/min 정도로 높으므로 빠른 이송 및 활용 가능(수소 ~100 MJ/min, 리튬계 이차전지 ~150 MJ/8hrs)


에너지·환경연구센터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및 에너지화 기술

· 기술설명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처리 및 에너지화 기술은 석유정제공정, 화학공정, 도장공정, 필름제조 및 인쇄공정 등 다양한 공정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 산화, 응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효율로 처리하고 기술임. 그리고 산화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은 상변환 물질을 이용하여 회수/저장하는 기술과 흡착필터가 적용된 농축 및 응축 시스템을 이용한 고효율 액상 회수 기술 등을 융합시킴으로써 고효율 에너지화가 가능함. 본 센터에서는 2008년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기술개발 연구를 시작하였고, 2010년도에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축 및 응축을 통한 재활용 시스템 개발연구를 통해 액상 회수 시스템 기술을 확보하였음. 이를 바탕으로 현재는 다양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를 위한 흡착필터 국산화 및 재생 장비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에너지·환경연구센터 가스화를 통한 합성가스 및 수소 제조 플랜트 기술

· 기술설명

◦가스화 플랜트 기술은 석탄, 석유코크스, 바이오매스 등과 같은 연료원을 고온/고압의 가스화 반응을 거쳐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가 주 성분인 합성가스를 제조하는 플랜트 기술로, 저급자원을 고효율 발전, 합성연료 제조 등의 청정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차세대 에너지전환 기술이라 할 수 있음. ◦본 그룹에서는 1993년부터 2 톤/일 규모의 Pilot급 시스템에 대한 국산화 요소기술 개발 연구를 시작하였고, 이후 scale-up 단계를 거쳐 20 톤/일급 시스템에 대한 공정설계 및 운전최적화를 통한 안정적인 연속운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는 국토부의 지원을 받아 석유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실용화 기술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수소에너지솔루션센터 엔지니어링 기법 고도화

· 기술설명

화학공정설계의 기초가 되는 HMB(Heat and Mass Balance) 도출을 위해 열역학 기반 수학적 모델링 및 하드웨어 컴퓨팅을 통한 공정모사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하여 공정 최적화 기술을 가지고 있음. 아울러 최적화 된 공정의 수익성 및 편익분석을 포함하는 경제성 분석의 도구로 활용하여 비즈니스모델 구축을 진행하고 있음.


수소에너지솔루션센터 엔지니어링 기법 고도화

· 기술설명

다양한 시스템 및 부품 등의 효율향상 및 최적화를 위해서는 CAE (Computer-Aided Engineering)를 활용한 수치해석 기술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데, 수소에너지솔루션 센터에서는 수소개질, 연소, 온실가스 분해 등의 화학반응현상부터 고체/액체/기체 등 다중유동현상 및 복합열전달 현상 등을 예측 및 분석할 수 있는 해석 기술을 확보하였음.